본문 바로가기
심층리포트

📊 2025 하반기 증시 전망 및 투자 전략 보고서(출처: 한국경제TV 이상로 대표 & 나현우 대표 발언)

by 방랑자의꿈1 2025. 8. 29.
반응형

2025 하반기 증시 전망 및 투자 전략 보고서
2025 하반기 증시 전망 및 투자 전략 보고서

1. 증시 전망

  • 지수 흐름: 9월 이후 코스피는 ‘박스권 돌파’를 시도할 것으로 전망됨. 정부의 코스피 5,000포인트 추진 정책, 금리 인하 기대감, 글로벌 이벤트(한미 정상회담, APEC 등)로 우호적 환경 조성 .
  • 투자심리: 8월까지의 부진은 숨 고르기였으며, 9월 이후에는 반등 모멘텀 강화. 외국인 순매수(7월~8월 약 4.5조원)로 시장 펀더멘털에 대한 신뢰 확인 .
  • 리스크 요인: 대주주 요건(상법·세법 개정), 중국 경기 둔화, 단기 과열권 진입에 따른 조정 가능성.

2. 섹터별 분석

(1) 반도체 (이상로 대표 TOP PICK)

  • 배경: AI·HBM 수요 확대,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.
  • 관점: 엔비디아, AMD 실적 호조로 글로벌 반도체 수요는 둔화 아닌 확산 국면.
  • 국내 기업: SK하이닉스(HBM 점유율 80%) → 점차 50%로 낮아지고 삼성전자·마이크론이 확대.
  • 투자 포인트:
    • 단기: 소재·전공정 장비 기업 (ENF테크놀로지, 유진테크, 테스 등).
    • 중장기: 패키징·기판 기업 및 데이터센터 관련주.
  • 전략: 조정 시 분할 매수. 삼성전자 6만5천원 이하, SK하이닉스 단기 조정 시 매수 유효 .

(2) 제약·바이오 (나현우 대표 TOP PICK)

  • 배경: 금리 인하 수혜주,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 수출 확대.
  • 핵심 모멘텀: 비만 치료제(펩타이드 기반), 항암제, ADC(항체약물접합체), 오가노이드(인공 장기).
  • 대표 기업: 알테오젠, ABL바이오, 리가켐바이오, 인벤티지랩, 인투셀 등.
  • 투자 포인트:
    •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 중인 기업 우선.
    • 낙폭과대 및 실적 기반 종목 중심 접근.
  • 리스크: 임상 결과 불확실성, 과거 ‘임상 실패→급락’ 패턴 재발 가능 .

반응형

(3) 기타 주목 섹터

  • 방산: 지정학 리스크, 국방비 확대 수혜.
  • 전기차·원전: 한미 정상회담 협력, 정책 모멘텀.
  • AI·로봇: 금리 인하 시 재차 강세 가능.
  • 중국 소비주: 과거 대비 영향 축소, 개별 기업 펀더멘털 중심 선별 필요 .

3. 추천 종목

(1) 이상로 대표 추천주

  • 삼성전자: AI 반도체·파운드리 성장 기대.
  • SK하이닉스: HBM 시장 지배력, 실적 개선.
  • 유진테크·테스: 전공정 장비 대표주.
  • ENF테크놀로지: 소재 대표주.
  • 데이터센터 관련주: 기판·전선 공급사 등 .

(2) 나현우 대표 추천주

  • 알테오젠: 글로벌 기술 수출 경험.
  • ABL바이오: ADC 파이프라인 주목.
  • 리가켐바이오: 글로벌 협력 기업.
  • 인투셀: 삼성바이오 계열 협력 이슈.
  • 인벤티지랩·G2G바이오: 비만 치료제 모멘텀 .


4. 투자 전략 제언

  1. 단기: 이벤트 기반 대응 (합병·금리 인하·대주주 요건 등).
  2. 중기: 반도체·제약바이오 중심 주도 섹터 편입.
  3. 리스크 관리: 현금 50%·주식 50% 비중 유지 후 방향성 확인 시 확대.
  4. 종목 선별 기준:
    • 실적이 뒷받침되는 종목
    • 글로벌 협업·기술 수출 이력 보유 기업
    • 낙폭과대 구간에서 매수 접근

 

5. 전문가별 9월 추천주

구분 이상로 대표 추천주투자 포인트 나현우 대표 추천주  투자 포인트
1 삼성전자 AI 반도체·파운드리 성장 알테오젠 글로벌 기술수출·비만치료제
2 SK하이닉스 HBM 시장 지배력, 실적 개선 ABL바이오 ADC 파이프라인 주목
3 유진테크 전공정 장비 성장주 리가켐바이오 글로벌 협력 확대
4 테스 반도체 장비 대표주 인투셀 삼성 계열 협력 이슈
5 ENF테크놀로지 소재 대표주 인벤티지랩 비만치료제 모멘텀

6. 결론

2025년 하반기 증시는 코스피 5,000 돌파 정책 + 금리 인하 기대감을 축으로 반등 가능성이 높다.

  • 반도체는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국가 주도 섹터.
  • 제약·바이오는 금리 인하 수혜와 글로벌 기술 수출 모멘텀으로 성장 가능.
  • 투자자는 단기 이벤트보다는 중장기 구조적 성장 섹터에 무게를 두고, 조정 구간에서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바람직하다.
반응형